[Git]협업의 3가지 시나리오
내 로컬 저장소는 변했는데 원격 저장소는 변함 없는 경우
- 그냥 push를 하면 된다.
내 로컬 저장소는 변함 없는데 원격 저장소는 변한 경우
- $ git pull로 동기화 후, push하기
내 로컬 저장소도 변했는데 원격 저장소도 변한 경우
1.revase
2.pull request
local에서 새 브랜치를 만들어 준다.
conflict
local에서 a파일을 수정했고, a파일을 github에서도 수정되어서 충돌이 일어날경우
수동으로 관리해줘라
1. github manager 추가 (권장사항 아님, 소규모할떄만)
settings - manage access
2. pull request
1) 협업 대상 repository에서 fork하기
→ 내 계정에 해당 repository가 생긴다.
2) fork해온 곳에서 clone하기
** 기존 협업대상의 repository에서 clone하는 것이 아니라 내 계정에 생긴 repository를 clone한다.
3) branch를 만들고 작성하고자 하는 코드(commit) 작성하기
4) 코드 작업을 수행한 그 branch에 push
그러면 github repository에 아래 버튼이 생긴다.
5) pull request 날리기
Compare & pull request 클릭~
newbranch에서 작성한 내용을 kshpractice/co-practice repository의 master브랜치에 pull request를 날리고 싶습니다란 정보다.
pull request를 날렸다면 kshpractice계정에서는 아래와 같은 pull request를 확인할 수 있다.
6) pull request 날린 branch 지우기
pull request를 merge했다면 받은 브랜치는 삭제해준다.
위 방식으로 하거나, 터미널에서 git branch -D 브랜치명 으로 삭제를 해준다.
git bash 계정 변경방법
유저 이름과 메일계정 확인방법과 변경 방법
참고블로그 https://meaownworld.tistory.com/78
git-scm.com → documentation → book 에서 심화 공부할 수 있다.